Ticker

6/recent/ticker-posts

싱크홀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과연 무엇인가?(feat. 명일동 싱크홀 사건)

목차

  • 1. 싱크홀의 원인
  • 2. 싱크홀의 전조 증상과 대처 요령
  • 3. 최근 싱크홀 사고 내용과 원인
  • 4. 마치며


  • 최근 서울시 강동구 명일동에서는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시민들의 불안은 더더욱 커져 가고 있다.

    도심지에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에 대해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싱크홀의 원인

    싱크홀의 원인
    싱크홀의 원인

    싱크홀은 자연적 및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자연적 원인 : 주로 석회암 지역에서 지하수가 암석을 용해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이 붕괴하면서 싱크홀이 생기게 된다. 지하수의 흐름이 변화하거나 지진 또는 단층 등 지각 변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인위적 원인 : 도심지에서는 주로 지하 매설물의 노후화, 지하수 과다 사용, 지하 구조물 건설 중 관리 부실 등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상하수도관의 누수나 파손으로 인해 주변 토사가 유실되면서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





    2. 싱크홀의 전조 증상과 대처 요령

    싱크홀의 전조 증상으로는 주로 지반 침하균열이 있다. 

    지하 매설물과 연결된 맨홀 주변에서 홈이 파이거나 지표면이 내려앉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지하수 변화로 인해 지반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싱크홀이 발생했을 때의 대처 요령으로는 다음과도 같다.

    • 즉각적인 안전 확보 : 주변 사람들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킨다.
    • 신고하기 : 경찰이나 소방서에 신고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한다.
    • 위험 지역 표시 : 안전표지판이나 경고 테이프를 설치하여 접근을 차단한다.
    • 전문가 대기 : 구조 전문가가 도착할 때까지 현장에서 대기한다.
    • 정보 수집 : 주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 재해대책 마련 : 향후 비슷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 복구 작업 :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안전한 복구 작업을 진행한다.




    3. 최근 싱크홀 사고 내용과 원인

    싱크홀 사고
    싱크홀 사고


    최근 도심지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는 다음과 같다.


    💟 서울 강동구 명일동(2025년 3월)

    • 사고내용 : 가장 최근에 일어난 싱크홀 사고로 20미터 너비, 30미터 깊이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주행 중인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하고, 차량 운전자는 부상을 입게 되었다.
    • 사고원인 : 여러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진행되면서 지하수 압력 변화와 토양 침식이 가속화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산 사상구 주례동(2024년 9월)

    • 사고내용 : 지하철 공사 구간 인근에서 싱크홀 발생으로 5톤 트럭이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사고원인 : 우천으로 인하여 지반이 불안정해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2024년 8월)

    • 사고내용 : 갑작스런 지반침하로 6미터 너비, 2.5미터 깊이의 싱크홀이 발생해 차량이 빠지면서 운전자와 동승자가 부상을 입었다.
    • 사고원인 : 지하 매설물의 노후화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4. 마치며

    주로 도심지에서 싱크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해 싱크홀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 발전을 위해 지나친 지하 공사로 인해 주변 토사의 유실이 발생으로 또 다른 피해를 겪고 있다. 지질학적인 분석통계적인 판단을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며 싱크홀 사건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